과정상세
AWS 인프라 구축 핸즈온

교재제공 중급
AWS 인프라 구축 핸즈온
과정요약
학습시간 | 21시간 | 난이도 | 중급 |
---|---|---|---|
교육비 지원 | 고용보험 비환급 | 평가항목 | 출석률 100% |
수료기준 | 총점 80점 이상시 수료 | 정원 | 20 명 |
교재정보 |
과정소개
클라우드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직접 구성해보는 실습 중심의 과정입니다.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한다면 AWS 활용역량은 필수죠!
단계별로 실습하는 AWS 핸즈온
직접 AWS 서비스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실습 중심 강의
서비스 간의 연관성과 원리를
단계적인 실습 과정을 통하여 학습
💻 AWS 실습을 위해서 AWS 계정 가입이 필요합니다. (가입 시 제공되는 프리티어로 실습 진행)
💻 원활할 실습 진행을 위해 선수지식으로 클라우드 기본 개념 이해가 필수입니다.
학습목표
- AWS 아키텍처 구현을 위한 기술과 관련 서비스의 활용 방법을 알 수 있다.
- AWS의 핵심적인 주요 서비스들의 사용 방법과 세부 기능 및 옵션을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 AWS 클라우드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프로세스 및 방법을 이해한다.
- AWS 클라우드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비스들의 상관 관계 및 클라우드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학습대상
- AWS에 입문하신 분
- AWS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과 관련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
- AWS 주요 핵심 서비스의 실제 사용 방법을 배우고 싶으신 분
- AWS의 개별 서비스가 인프라 관점에서 다른 서비스들과 어떻게 함께 사용되는지 배우고 싶으신 분
- 스스로 AWS 클라우드 인프라를 만들어보고 싶으신 분
교재소개
- 교육 시작일에 GitBook 링크를 안내 드립니다.
과정목차 21
-
1 일차
-
Cloud9으로 IDE 환경 구성
- AWS의 IDE 서비스인 Cloud9으로 기본 실습 환경 세팅
-
Cloud9으로 IDE 환경 구성
-
VPC 네트워크 구성
- 기본적인 AWS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구성
- 가상 머신(서버) 생성 및 접속
- 부하 분산이 가능한 이중화된 네트워크를 구성
- AutoScaling으로 기본 클라우드 인프라에 확장성과 탄력성을 부여
- 클라우드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를 활용
- 클라우드 보안을 위한 기본 요소인 IAM을 구성
-
웹서버 액세스 응용
- 추가적인 가상 머신(서버) 접속 및 관리 방법
- AutoScaling 응용
- 모니터링 및 알림 시스템 구현
- 클라우드 기반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를 활용
- 프라이빗 영역 가상 머신(서버)의 외부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 구성
- 복수 VPC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 구성
- RDS로 MySQL 엔진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
네트워크 확장(3)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 구성
- Auroroa로 MySQL 엔진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 DynamoDB로 NoSQL 데이터베이스 구성
-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Lambda 활용
-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API Gateway 활용
-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를 위한 컨테이너 서비스 활용
-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를 위한 쿠버네티스 서비스 활용
수강후기 0
-
등록된 수강후기가 없습니다